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집단의 종류(원초집단, 2차 집단)
    교육 2023. 11. 7. 18:00
    반응형

     

     

      생물학자들에게는 세포가 과학적 분석의 기본단위가 되고 있는 것과 같이 사회학자들에게는 위에 말한 인간집단이 분석의 기본단위 또는 대상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회학적 분석의 기본단위가 집단이긴 하지만 우리가 아는 집단의 유형은 매우 다양하여 가령 가족, 갱단(gang), 기업체의 이사회, 적십자사, 군대, 국회, 마을, 심지어 전체사회도 집단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집단들을 살펴보면 크기, 구조의 복잡성, 가치지향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서로 차이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많은 사회학자들이 집단을 분류하는 다양한 체계들을 발전시키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분류기준들을 사용해 왔다. 예를 들면, 집단성원의 수, 동류의식, 성원자격, 집단목표의 중요성, 상호작용의 형식성과 비형식성 등이 그것들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준들의 어느 하나 또는 전부를 적용해도 수많은 사회집단들을 일관성 있게 체계적으로 분류하기란 매우 어려운 것이다. 이것이 바로 사회학자에 따라 집단을 분류하는 방식이 왜 서로 다른가를 잘 말해주고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사회집단의 어떤 분류 도식을 제시하기보다는 지금까지 사회학자들에 의해 시도된 집단의 중요한 분류방법과 그 종류를 소개하고자 한다.

     

     

    1. 원초집단과 2차 집단

      원초집단(primary groups)의 개념은 사회심리학의 선구자라고 말할 수 있는 쿨리(C. H. Cooley)에 의해 처음 사회학에 소개되었다. 원초집단은 무엇보다도 적은 수의 사람들로 구성되며 성원들은 서로 직접적인 접촉과 친밀한 상호작용을 한다. 그리고 원초집단의 성원들 사이의 관계는 정서적으로 깊이 관련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며 이러한 관계는 오랫동안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 집단이 다수의 사람들로 구성될 때 사람들 간의 직접적이고 대면적인 관계가 이루어지기 어렵지만 원초집단에는 그러한 관계가 쉽사리 지속될 수 있을 만큼 성원의 수가 적은 편이다.

     

    ※ 쿨리(Charles Horton Cooley): 미국의 사회학자로 개인과 집단은 전체로서의 사회의 양면으로 분리되어 생각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제 1차 집단'의 개념을 제시한 것으로 유명하다. 주요 저서에 3부작인 《인간성과 사회질서》등이 있다.

     

      원초집단의 가장 좋은 예는 핵가족을 들 수 있다. 가족의 성원들은 자주 대면적인 상호작용을 하며 혈연유대로 이어지는 가족단위는 어느 의미에서 영속적이다. 그리고 가족성원들은 가족 안에서 지위와 역할이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을 만큼 상호간에 여러 가지 관계를 가진다. 비록 가족이 어떤 특정의 목표를 성취하려고 하지는 않으나 정서적 만족을 통해 가족성원들은 보통 사랑과 애정으로 결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원초집단관계는 대체로 대면적 접촉, 적은 집단성원 수, 그리고 빈번하고 밀도 있는 접촉에 의해 촉진된다고 말할 수 있다(Vander-Zanden, 1979 : 153). 친근감이 생겨나기 위해서는 사람들이 서로 가까이 있어야만 한다. 서로 보고 이야기를 나눈다는 것은 여러 가지 아이디어, 감정 및 의견들의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부가하여 집단크기가 중요하다. 즉 동시에 많은 사람들과 정감있는 접촉을 한다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소집단은 개인들이 서로를 개인적으로 잘 알게끔 한다. 끝으로 인간관계의 지속성이 매우 중요하다. 사람들은 함께 오래 지낼수록 그들 사이의 접촉은 보다 빈번해지고 깊이가 있게 된다. 우리가 흔히 어느 과목의 수강을 변경하거나 또는 어떤 사업을 그만두는 것은 상대적으로 쉬운 일이지만 우리의 원초적 관계는 쉽사리 단절되기 어렵다. 가족 및 친우집단과 같은 원초집단은 오래 지속되는 경향이 있으며 만일 지속이 안될 때 그러한 관계를 대치할 수 있는 새로운 어떤 관계를 확립하기란 쉽지 않다. 그러므로 사람들은 원초집단 관계가 오래 지속되기를 바라며 그러한 관계를 단절하고 새로운 관계를 이루기가 어렵하는 점을 잘 인식하게 된다.

      원초집단과는 다르게 2차 집단(secondary groups)은 성원들 서로가 상대적으로 적은 정서적 결속과 유대를 가진 사람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2차 집단관계는 비인격적(impersonal)이며 성원 각자가 자신의 전체 퍼스낼리티를 개입시키지 않는다. 특히 성원들의 관계는 형식적이고, 전문화되어 있고, 또한 규범이나 규칙에 의해 표준화되어 있기 때문에 어떤 정서적인 내용이 결핍되어 있다.

      2차 집단에서 성원들은 한정된 대면적 접촉을 하며 또한 서로가 특정의 역할들에 의해 관계되는 것이 특징이다. 사무원과 손님, 의사와 환자, 그리고 고용주와 고용인의 관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들의 관계는 친밀한 관계라기보다는 비인격적이며 깊이가 있고 의미 있는, 그리고 자발적인 관계라기보다는 표면적이고 사무적인 관계이다. 2차 집단은 그 크기가 작을 수도 있고 클 수도 있다. 새로이 형성된 어떤 소집단이 처음에는 2차 집단의 성격을 가지게 되지만 그 구성원들이 서로를 잘 알게 되고 보다 친밀하게 상호 작용하게 되면 하나의 원초집단이 될 수도 있다. 대학에서 세미나집단이 하나의 2차 집단으로 출발하지만 얼마 후에는 하나의 원초집단으로 되거나 또는 그 2차 집단 내에 여러 개의 작은 원초집단으로 발전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커다란 집단들은 2차 집단들이며 이들은 보통 결사체(association)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여기서는 기업체, 커다란 공장, 정부기관, 정당, 종교단체와 같은 조직체가 포함된다.

     

     

    출처: 양춘 외 2인, 현대사회학, 민영사, 90~93쪽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