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 이동과 사회 계층 구조교육 2023. 11. 17. 18:00반응형
1. 사회 이동의 의미와 유형
개인이나 집단의 *계층적 위치가 변화하는 현상을 사회 이동이라고 한다. 사회 이동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계층: 사회적 위치가 부, 권력, 명예 등에 따라 층화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상층, 중층, 하층으로 구분한다.
첫째, 사회 이동의 방향에 따라 수평 이동과 수직 이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수평 이동은 동일한 계층 내에서 사회적 위치가 변화하는 것으로, 중학교 교사가 고등학교로 발령이 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수직 이동은 계층적 위치가 위아래로 변화하는 것으로 계층적 위치가 높아지는 상승 이동과 그 반대인 하강 이동이 있다.
둘째, 사회 이동이 이루어진 세대 범위를 기준으로 세대 내 이동과 세대 간 이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세대 내 이동은 한 개인의 생애 동안에 나타나는 계층적 위치의 변화를, 세대 간 이동은 두 세대 이상에 걸쳐서 이루어지는 계층적 위치의 변화를 의미한다. 세대 간 이동은 주로 부모와 자녀의 계층 위치를 비교하여 파악한다.
셋째, 사회 이동이 일어난 원인을 기준으로 개인적 이동과 구조적 이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개인적 이동은 한 개인의 능력이나 노력으로 계층적 위치가 변화하는 것으로, 열심히 공부하여 판검사로 임용된 예가 이에 해당한다. 구조적 이동은 전쟁, 혁명, 산업화, 도시화 등 사회 변동으로 사회 구조가 바뀌면서 발생하는 계층적 위치의 변화를 의미한다. 구조적 이동의 예로 시민 혁명을 통해 시민 계급이 정치적·사회적으로 주도권을 행사하는 지위로 부상한 경우를 들 수 있다.
2. 사회 계층 구조의 의미와 유형
사회 계층 구조는 한 사회에서 경제적 부나 권력, 사회적 위신과 같은 사회적 희소 자원이 불평등하게 분배되고, 그러한 불평등이 일정한 형태로 고정된 구조를 의미한다. 사회 계층 구조의 모양은 현실에서는 매우 복잡하게 나타나지만, 일반적으로 두 가지 측면에서 유형을 살펴볼 수 있다.
우선 사회 계층 구조는 계층 구성원의 비율에 따라 수직형 계층 구조, 수평형 계층 구조, 피라미드형 계층 구조, 다이아몬드형 계층 구조로 구분할 수 있다. *수직형 계층 구조나 *수평형 계층 구조는 현실적으로 존재하기 어려우며, 이론상으로만 존재하는 극단적 형태의 계층 구조이다.
*수직형 계층 구조: 모든 사회 구성원이 서로 다른 계층에 속해 수직선상에 배열된 형태이다.
*수평형 계층 구조: 모든 사회 구성원이 같은 계층을 이루고 있어 수평선상에 배열된 형태이다.
피라미드형 계층 구조는 계층 구성원의 비율이 하층이 가장 높고, 상층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계층 구조이다. 신분제에 기초한 전통 사회나 초기 산업 사회에서 이러한 계층 구조가 많이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피라미드형 계층 구조를 지닌 사회에서는 소수의 상층이 사회적 희소 자원의 대부분을 독점하기 때문에 사회적 갈등이 심하게 표출될 가능성이 크다.
다이아몬드형 계층 구조는 중층의 비율이 상층이나 하층보다 높은 형태의 계층 구조이다. 이 계층 구조는 전문직, 사무직 등과 같은 중간 계층에 속하는 구성원의 비율이 높아진 산업 사회에서 주로 나타난다. 다이아몬드형 계층 구조를 지닌 사회에서는 두텁게 형성된 중층이 상층과 하층 사이에서 완충 역할을 하므로 사회의 안정성이 비교적 높다.
<똑똑똑 지식 더하기> 정보화와 계층 구조의 변화
정보화가 사회 계층 구조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해서는 낙관론적 관점과 비관론적 관점이 있다. 낙관론적 관점에서는 정보화로 인해 부가 가치의 원천이 되는 지식과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가 모든 계층에게 확대되어 계층 간 격차가 줄어들 것이라고 본다. 이에 따라 다이아몬드형 계층 구조에서 중상층과 중하층 비율이 더 늘어나 타원형 계층 구조가 형성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타원형 계층 구조는 사회 안정을 실현하는 데 유리한 계층 구조라고 할 수 있다.
반면에 비관론적 관점에서는 정보화가 진전됨에 따라 오히려 계층 간 지식과 정보의 획득 및 접근에 격차가 발생하여 기존의 불평등이 더욱 심화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에 따라 중층의 비율이 현저히 낮고 다수가 하층을 압도적으로 차지하는 모래시계형 계층 구조가 형성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모래시계형 계층 구조는 계층 간 갈등이나 대립이 나타날 수 있는 계층 구조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사회 계층 구조는 계층 간 이동 가능성에 따라 폐쇄적 계층 구조와 개방적 계층 구조로도 구분할 수 있다. 폐쇄적 계층 구조는 계층 간 상승이나 하강 이동이 제한된 계층 구조를 말한다. 이 계층 구조에서는 타고난 신분이 개인의 계층적 위치를 결정하며, 개인의 노력이나 능력에 따른 계층 상승을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사회의 역동성이 낮게 나타난다.
개방적 계층 구조는 다른 계층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려 있는 계층 구조이다. 신분제가 폐지된 근대 이후 대부분의 사회가 여기에 해당한다. 이 계층 구조에서는 개인의 노력이나 능력이 사회 이동의 중요한 요인이 되기 때문에 사회의 역동성이 높게 나타난다. 그러나 계층 간 이동에 대한 법적·제도적 제약이 없는 개방적 계층 구조를 지닌 사회라고 해서 실질적인 상승 이동이 항상 활발하게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부모의 재산이나 직업이 자녀에게 세습되고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의 학력에 미치는 영향이 큰 사회라고 한다면, 그 사회는 계층 구조의 폐쇄성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계층 구조의 실질적인 개방성 정도는 개인과 사회 모두에게 영향을 미친다. 노력으로 계층 상승이 가능한 사회는 개인에게 만족감을 주지만, 아무리 노력해도 계층 상승이 어려운 사회는 개인에게 좌절감을 준다. 또한, 누구든지 노력하면 계층 상승을 이룰 수 있다는 믿음을 주는 사회는 사회 통합과 안정을 달성하기 쉬운 반면에 계층 상승의 희망이 실현되기 어려운 사회는 사회적 혼란과 갈등을 겪기 쉽다. 그러므로 오늘날 대부분 사회에서는 개인의 노력이나 능력에 의한 사회 이동 가능성이 열려 있는 개방적 계층 구조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한다.
출처: 신형민, 사회문화, 비상교육, 132~135쪽
반응형